이 문제 꼭좀알려주세요. 자세한 설명도
(1) 탄소 28%, 수소 5%, 산소 67% (2) 탄소 52%, 수소 13%, 산소 35%
(3) 탄소 28%, 수소 13%, 산소 59% (4) 탄소 52%, 수소 25%, 산소 23%
다음 중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1) 2NaCl + Br2 → 2NaBr + Cl2
(2) NaCl(aq) + AgNO3(aq) → AgCl(s) + NaNO3(aq)
(3) 2KOH(aq) + H2SO4(aq) → K2SO4(aq) + 2H2O(ℓ)
(4) 2Na(s) + 2H2O(ℓ) → 2NaOH(aq) + H2(g)
0.005 M Ba(OH)2 용액의 pH를 구하시오.
(1)
2
(2)
7
(3)
9
(4)
12
3문제인데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
。◕‿◕。 6
아직까지 눈치 못 챘으면 바보 여기에 적진 말고 ㅋㅋㅋㅋ 다들 안녕 。◕‿◕。
-
시대 풀로 다니는 거 아니면
-
현역의대 7
나 지금 현역인데 학원 테스트 평균보다 좀 더 높고 모의고사 보면 1등급 나오긴...
-
오해하기 딱 좋게 줄였네
-
어디가~
-
그래야 수능 끝나고 설뱃달아서 멋지게 오지
-
그냥 인강 없이 아예 문제집으러 독학 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강민철 커리 따라가는게...
-
히토리데와
-
잘 있어요 。◕‿◕。 48
다음에 돌아올게요 지난번에 인사도 없이 떠나서 죄송했어요 모두 행복하세요 。◕‿◕。
-
일부러 특정 좀 피하려고 말투 개조시켰는데 이제 제 주변인들은 원서 다 끝나서 바꿔도 될 듯?
-
얼버취 2
ㅇㅇ
-
애니프사 12
안정감이드는구나
-
이 글 쓰고 자러가면 잠이 솔솔 잘 와요 그래도 자러 가기 전까지 이미지 써드림
-
수백개씩 글 쓰는 나란 놈은 뭐지?
-
인강 빼고 아무것도 안되나
-
야식ㅇㅈ 2
밥도 말아먹을 예정
-
새터때 뭐입지 3
쩝 뭐입지
-
공부 잘하고 싶으면서 14
명확한 공부법을 정하지 않고 무작정 공부하는 건 이해 안감 물론 공부법을 세운다...
-
헌법행법민법 공부하다 국어기출 보니깐 느낌이 새롭네 3
특히 공법 공부하면서 기판력 기속력 공정력 불가쟁력 불가변력 부관 일부배제 등등...
-
난 탈릅안할거임 0
물론 숭자전 예비6번이 탈락하는 비상사태만 아니면 안할듯
-
현 예비고쓰리 미적분 처음 공부하는데 이렇게 3개 병행하는 사람 나밖에...
-
탈릅과 재릅 생각이 모두 있는 오르비언을 위한 팁 27
그냥 탈릅해버리면 다신 그 닉네임을 쓸 수 없어요 그래서 다시 그 닉을 달고 싶다면...
-
대치는 낮반 나올 것 같은데 기숙은 os 우선선발되면 기숙이 나을까요?...
-
차피 휴학이라 여기 지박령 예정일 듯ㅋㅋ;
-
사실 언어과목 공부법 칼럼은 중요한 맹점이 하나 있음 6
과학적으로 증명된 논문내용을 끌어오지 않는이상 걍 나는 ~해서 성공했으니 너네도...
-
안녕
-
ㅠㅠ 기다릴게
-
먐먐밈님 없는 오르비라...ㅠㅠㅠ
-
ㅜㅜ
-
덕코가 많아져서 3
기부니가 조으다
-
주인 잃은 레어 1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마따끄 아즈사"블루아카이브...
-
시작
-
7월달 쯤에 합법 재릅되면 센츄랑 설뱃 의뱃 들고 올게요 공스타는 남아있을거에요 。◕‿◕。
-
곧 젠지에서 서류 하나 보낸다고 하네요
-
굳이 개념강좌와 같은 선생님의 기출강의 들을필요는 없지?
-
매년 업로드 얘기가 끊이지 않는데 커리는 더 많아지는 이상한 현상
-
살짝 짜치는면이 있긴해 물론 실력하고 대중성은 ㅇㅈ
-
근데 이제 내가 사수생임
-
고등학생들 상대로 형식 갖고 아 이건 질문 형식이 잘못됐네요 우진희라고 쓰면 질문...
-
수1 질문 3
나름 맞게 작성했다고 생각했는데 가능한 t값이 안 나오네요.. 더 경우의 수가...
-
방굽습니다 1
-
본인 언매 체크메이트 들음 질문 게시판에 질문 남겼는데 한 20분? 있으니까 바로...
-
설탭도 가입하려다 끔 귀차니즘의 인간화가 내가 아닐까
-
이제 자야겠다 1
이러고 눈팅더하다 잘듯
-
낚시나 하러가자 2
기다릴게
-
현 솔랭 근황 0
쇼메이커/듀로 VS 스매시/웨이
1번
화학반응식을 쓰면
미지화합물(CHO포함) + O2 -> H2O + CO2 입니다.
그러므로 미지화합물에서 나온 H는 모두 H2O에 포함되고, C는 모두 CO2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H2O, CO2에 있는 H, C의 양을 계산하면 미지화합물의 H,C 양을 구할 수 있습니다
O는 모두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직접은 계산 못하고 미지화합물 질량에서 H,C의 질량을 빼서 계산합니다.
H2O에서 H 질량: 54g x (2 / 18) = 6g
CO2에서 C 질량: 88g x (12/44) = 24g
O질량 : 46g - (6+24)g = 16g
미지화합물은 H, C, O 6g 24g 16g씩 포함하고 있습니다.
질량퍼센트를 구하면 (6/46) x100, (24/46)x100, (16/46)x100
그러므로 답은 (2)
2번
(1) Cl2가 반응성이 더 크므로 일어나지 않음
3번
Ba(OH)2는 강염기이므로 모두 이온화된다고 가정
Ba(OH)2 -> Ba2+ + 2OH-
그러므로 OH- 0.01mol 생성
pOH = -log[OH-] = -log(0.01) = 2
pH = 14 -pOH = 12
답은 (4)
정말 감사드립니다 eeeeee님
eeeee님!!!!!!!!!!!!!!
죄송한데 2번문제 자세하게 설명좀 해주세요 흑..
반응성이 더 크므로 일어나지 않는다는게 무슨 말씀인지 이해가 잘 안되요 ㅠ
(1)번 반응에서 알짜반응식을 쓰면
2Cl- + Br2 -> Cl2 + 2Br- 가 됩니다.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응물보다 생성물이 안정해야 합니다.
위 반응을 에너지 계산을 위해 각 과정으로 쪼개면
- Cl의 경우
1) 2Cl- 가 전자를 버리고 2Cl 중성원자가 되는 과정 ( = 전자친화도와 관련 : 전자친화도는 1mol의 원자가 1mol의 전자를 얻을 때 방출하는 에너지)
2) 2Cl 중성원자가 결합하여 Cl2 분자가 되는 과정 ( = 결합에너지와 관련 : 결합에너지는 분자내의 결합을 모두 끊어 구성 원자로 분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 Br의 경우
1) Br2가 분리되어 2Br 중성원자가 되는 과정 ( = 전자친화도와 관련)
2) 2Br 중성원자가 전자를 얻어 2Br- 이온이 되는 과정 ( = 결합에너지와 관련)
실제 값을 찾아보면
Cl의 전자친화도 : 349(KJ/mol, 앞으로 단위 생략) / 결합에너지: 243
Br의 전자친화도 : 325 / 결합에너지 : 193
그러므로 반응식에 나타내면
2Cl - + 349 -> 2Cl + 2e- (349만큼 흡수한다는 의미)
2Cl + 243 -> Cl2
Br2 -> 2Br + 193 (193만큼 방출한다는 의미)
2Br- + 2e- ->2Br- + 325
위 식을 모두 더하면 (1)의 알짜반응식인
2Cl- + Br2 + 74 -> Cl2 + 2Br-
이므로 반응이 일어나려면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생성물이 더 불안정함을 의미하므로 반응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각 할로겐 원소에 대해서 중성 원자가 이온이 되면서 방출하는 에너지(즉 X2->2X-) 를 구하면
F2 > Cl2 > Br2 > I2 순서가 됩니다 (위와 같이 결합에너지와 전자친화도를 이용하여 계산)
이는 F2>Cl2>Br2>I2 순으로 이온이 더 되고 싶어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할수록 생성물이 안정)
이를 '할로겐의 반응성이 F2가 제일 크고 I2가 가장 작다' 라는 식으로 말합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원소의 할로겐이 함께 있으면
F2>Cl2>Br2>I2 순으로 이온으로 남아있으려고 하고
I2>Br2>Cl2>F2 순으로 기체로 남아있으려고 합니다
휴.. 알겟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