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33 [807933]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19-09-26 16:19:56
조회수 4,635

슈퍼문 25번 3번선지 도저히 모르겠어요..

게시글 주소: https://i1000psi.orbi.kr/00024750508

해설들을 봐도 뭔가 명확하게 이해가 안갑니다 ㅜ 너무 대충적어놓거나, 아예 틀린 해설이거나, 언급을 안해버린 해설들만 널려있네요,.


국어고수님들 설명좀 해주세요 ㅠㅜㅠㅜㅠㅜㅠㅜㅠㅜㅜㅠㅜㅠ 




금환 일식이 일어날 때 지구에서 관측되는 태양의 각지름은 달의 각지름보다 크다. (o)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ustat2014 · 907314 · 19/09/26 16:21 · MS 2019

    그 선지가 뭔지 봐야죠

  • 고333 · 807933 · 19/09/26 16:24 · MS 2018

    수정했습니다!

  • kustat2014 · 907314 · 19/09/26 16:27 · MS 2019

    금환일식이 뭐고 각지름이 뭔지 다시 보고 선지를 판단해보세요

  • 연세대학교20학번제발 · 820858 · 19/09/26 16:33 · MS 2018

    그게 아마 가까이있는게 각지름이 큰데 금환 일식때 달이 태양보다 가까이 있는데 왜 태양 각지름이 더 크다고 하는지가 이해 안 가시는거같은데요 제 기억상으로는 그때 태양이랑 달 거리는 생각하지 마시고 금환 일식이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해서 테두리가 보이니까 지구에서 봤을때 태양이 더 크게 보여서 그런거니까 태양 각지름이 더 크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 고333 · 807933 · 19/09/26 17:01 · MS 2018

    음,, 제가 빡대가리라그런지 아직 이해는 못했지만 지문 다시한번 읽어보겠습니다 ㅠㅠ 감사해요 ㅎㅎ

  • 지잡공돌이 · 673438 · 19/09/26 17:06 · MS 2016

    님 손 쫙 뻗어서 엄지손톱 보고 눈 앞까지 가져와서 엄지손톱 보세요. 가려지는 면적이 다르지 않나요? 그게 가까운 엄지가 각지름이 커서 그런거에요

  • 고333 · 807933 · 19/09/26 17:09 · MS 2018

    음 각지름이랑 겉보기 지름을 지금은 알기에 그거생각하면 쉽게 풀 순 있는데 시험장에선 그걸 몰랐을거구요 ㅠㅠ 그걸 몰라도 논리적으로 풀 수 있는 풀이?? 가 있나 찾아보고 있어서요 ㅠㅠ

  • 지잡공돌이 · 673438 · 19/09/26 17:10 · MS 2016

    그냥 멀면 작다 가까우면 크다 라고 지문에 안나와있나요? 무조건 대립적,대칭적 서술 있을텐데

  • 고333 · 807933 · 19/09/26 17:17 · MS 2018

    지구에서 관측되는 천체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각지름이 커진다 라고 나와있어요

    금환일식은 태양 달 지구의 순서로 늘어서고, 달이 원지점일때 관측된다고 나와있구요

    이렇게보면 지구-달의 거리가 지구-태양의 거리보다 가까운데

    이러면 달의 각지름이 태양의 각지름보다 큰게 아닌가 라고 생각했는데 위에 연대님이 거리생각은 배제하라 하셔서 뭔가 더 헷갈리는것도 같아서요,, 좀 더 차분히 생각해봐야 할까요 ㅠㅠ

  • 코난T​​ ​ · 877409 · 19/09/26 17:44 · MS 2019

    지문 상

    각지름의 정의: 지구에서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을 각도로 나타낸 것

    개기일식: 태양 면의 전체 면적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는 것
    -> 달 겉보기 지름 > 태양 겉보기 지름

    금환일식: 태양 면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지 않아 태양 면의 가장자리가 빛나는 고리처럼 보임
    -> 달 겉보기 지름 < 태양 겉보기 지름

    이 process에 대한 이해가 '사후적'이라고 느끼셨다면, 지문을 읽으면서

    1) 겉보기 지름이 무엇인지 (배경 지식이 없으므로) 나는 모르겠다!

    2) 1)과 연계되어, 달의 면적과 태양의 면적과 겉보기 지름의 상관관계에 대해 잡아내지 못했다.

    에 기인했을 공산이 큽니다.


    이 지문에서, '겉보기 지름'이 무엇인지 명시적으로 제시한 적은 없습니다.

    지름이 뭔지는 아시죠?(모르면 더 도와드릴 수 없습니다)

    '겉보기' 지름이라는 말이 지문에서 무엇이라고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았고, 뭔가 헷갈린다면, '겉보기'라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이 용어를 받아들이셔야 합니다. 다시 말해, 맥락상 용어를 장악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렇게 겉보기 지름에 대한 용어를 파악 하시고,

    일반적인 지름과 면적의 관계를 관계를 고려하신다면,

    태양 면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지 않는다 -> 태양 면의 전체 면적이 달의 면적보다 크구나 -> 태양의 겉보기 지름이 달의 겉보기 지름보다 크구나

    라는 사고를 하실 수 있을 겁니다.

  • 고333 · 807933 · 19/09/29 09:45 · MS 2018

    아,,, 네 맞아요 겉보기 지름에 대한 개념이 안나와 있어서 그냥 모르겠다 하고 넘긴것 같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ㅠㅠ 그렇게 생각하니 쉽게 해결된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