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11호] 나머지가 아니라서요. (수능 국어)
[궁무니 수능 국어 칼럼] 나머지가 아니라서요. (수능 국어)
안녕하세요. Team PPL의 국어팀 소속 궁무니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낮은 등급대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방법과 수능 국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국어 학원에서의 조교일과 국어 과외를 병행하면서, 학생들로부터 국어 문제 질문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항상 저는 학생에게 물어봅니다. “이 답을 선택한 이유가 뭐야?” 그리고 대부분 이렇게 답합니다.
“나머지가 아니라서요.”
이 답변은 수능 국어를 공부하는데 있어서 가장 독이 되는 답변이라고 생각합니다. 수능 국어에서는 모든 선지마다 답의 근거를 지문 속에서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선지마다 답이 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근거를 가지고 있지요. 하지만 이렇게 단지 ‘나머지가 아니라서 이것이 정답이다’라고 답을 도출해내는 것은 문제를 제대로 푼 것도, 공부를 하는 것도 아닙니다.
수능 국어는 객관적으로 봐도 답의 근거가 명확하도록 문제를 출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인 근거를 찾아서 답을 도출해내는 것이 수능 국어의 핵심인 것이죠. 단순히 기출을 반복한다고 해서 성적이 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객관적인 답의 근거를 찾을 수 있는가. 수능 국어에서 수험생에게 묻는 것은 바로 이겁니다.
그렇다면 답의 근거를 찾는 태도는 어떻게 기르는 것일까요? 단순합니다. 평소에 문제를 풀면서 답의 근거를 적어두면 됩니다. 마치 스스로 해설을 쓰는 것처럼요. 아래 지문을 예시로 들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지문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서 출제된 PCR 지문입니다. 단순히 지문을 읽고 글을 이해하기에는 다소 난해했던 지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답의 근거를 지문 속에서 찾을 수 있었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었을 겁니다. 아래는 해당 지문의 첫 번째 문제입니다.
상위권의 학생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문제 풀이로 넘어옵니다. 그리고 첫 문제부터 난항을 겪죠. 선지도 제대로 이해가 되질 않는 겁니다. 그래서 자신이 조금이나마 이해한 지문의 내용을 근거로 문제를 풀게 됩니다.
하지만 답의 근거를 지문 속에서 찾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더욱 정확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지요. 해당 문제를 통해 지문 속에서 답의 근거를 찾는 훈련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선지 “2종의 프라이머 각각의 염기 서열과 정확히 일치하는 염기 서열을 주형 DNA에서 찾을 수 없다.”에 해당하는 답의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보겠습니다.
1문단을 보면, “주형 DNA에서 증폭하고자 하는 부위를 표적 DNA라 한다.”, “프라이머는 표적 DNA의 일부분과 동일한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짧은 단일 가닥 DNA”라는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 문장을 근거로, 프라이머 각각의 염기 서열과 정확히 일치하는 염기 서열을 표적 DNA에서 찾을 수 있고, 표적 DNA는 주형 DNA에서 나온 것임으로 주형 DNA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정답의 논리가 완성됩니다.
이렇게 수능은 지문 속의 정보를 토대로 답을 유추하는 것입니다. 사실 답의 근거가 지문 속에 있다라는 핵심은, 국어 공부를 하는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정보입니다. 하지만 답의 근거를 찾지 않고 오로지 자신이 읽었던 글의 기억으로만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생들이 꽤나 많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하더라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경우에도 주로 답의 근거를 찾는 훈련이 되어있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답의 근거를 찾는 훈련을 우선시 하면서 수능 국어 문제를 풀어보는 태도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PPL 국어팀 궁무니였습니다. 다가오는 2023학년도 대수능에서의 여러분의 국어 건승을 기원하겠습니다.
칼럼 제작 | Team PPL 국어 X 궁무니팀
제작 일자 | 2022.01.10
Team PPL Insatagram |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프사 뭘로 할지 정함 11
벤젠 고리형태 결합 ㅈㄴ이쁘지않음?
-
하존나춥네시발 1
소화도 안됨 또 잠 못자게 생걌네
-
밥을 먹어보아요 12
이 집 잘하네요
-
단 한번이라도 나보다 낮은 학벌이 떠드는 것을 보고 무시하거나 그런 생각이 들었거나...
-
아니 가격이… 재수하는 비용보단 싸다고 부모님이 위로해줬어요
-
연대 문사철 평균 6칸 정도인데 원서철 되면 더 떨어질까요?? 발뻗잠 하고 싶은데 불안합니다ㅠㅠ
-
원래 경제, 국제통상에 관심이 있고 매우 좋아하는데 학교를 높이려고 어문계열로 틀까...
-
예뻤어~ 8
날 바라봐주던 그 눈빛~
-
알파가 개념서고 베타가 N제라 알고 있는데 현우진T로 따지면 각각 뉴런 드릴 포지션 맞나요?
-
이로써 1
완전한 애니프사단이라고 할 수 있겠군..얼마나 유지 가능할지
-
곧 20살 되는 고3이랑 사귈예정
-
ㅇㅈ 16
안녕하세요 오르비공공재 저능부엉이입니다
-
"그렇다 최고가 되는것보다 더 중요한것이 있다"
-
노비 ㅇㅈ 8
토스가 나보고 노비래
-
제발 1
내년에 입시판 떠날 수 있길
-
피시방옴 5
옵치할거임뇨
-
내일부터 진짜 4
오르비 최대한 줄이고 갓생살기 도전 학벌이 망해서 열심히라도 살아야해
-
갓곡 ㅁㅌㅊ
-
아니 새벽1시에 5
숨고에 왜 대학생,대학원생 수학과외로 견적을보냈는데 토익영얼르가르쳐달래 뭔 미친넘이여
-
세상에 멍청한 사람이 너무 많아서
-
ㅈㄱㄴ 헌혈스택 지금부터 쌓으면 가능할라나
-
저도 여르비인데 1
잘생긴 분들 쪽지 부탁드립니다
-
가만히 놔두다간 끊임없이 덧나
-
70명정도 뽑는 학부에 경쟁률 8ㄷ1인과고 240명정도 실지원자있는 학부에서...
-
수능 썰 0
수능 끝나고 앞자리 07년생 현역이 ‘야 껌먹을래?’ 라고 껌을 줬어요 01년생인...
-
아가 취침 3
잘자
-
많은 생각이 드는구나 이제 새로운 시작인데 시작이 너무 늦었구나..
-
퇴근! 2
이쁜 트리보며 퇴근~
-
이기상쌤이… 2
기상쌤이 한지는 몰아서 듣는거다! 예습2시간+강의2.5시간 하면된다! 라고 하셨는데...
-
여러 명을 만나봤는데 국적 차이는 거의 없고 여자라는 생물은 거의 비슷합니다 물론...
-
근데 100명 채워지면함
-
있겠냐
-
눈이 행복해요
-
이거 쓰라는 신의 계시인가
-
덕코를 드립니다
-
딸쟁이들 뭐임; 8
난 그래도 금딸할거임
-
강대 시대 1
중 어디가 나음?
-
김현우t 3
과제가 일주일에 100문제 정도라는대 사실인가오? 그럼 주에 n제 하나를 푸는 거임?
-
내년에 사탐 무조건 만백 100~99띄워야 하는데 올해 정법 사문 봤는데 사문이...
-
광기가 없어서 다행이야 물론 또할지는 모르겟어
-
2학년까지 전 과목 평균 1.26인데 고대식 내신 산출해보니까 1.14라고 하네요?...
-
음 억시귀엽군
-
ㅈㄱㄴ
-
잔다 2
요즘 좀 바쁘네
-
수능 물리학 3
심심해서 수능 물리 공부하려고 하는데 물1 공부한 뒤에 물2 공부해야 매끄럽게 이해되겠죠?
-
하지만 누군가는 내가 합격가능한 대학도 반영비 억까로 못쓰고 열내고있겠지...
-
설자전 2배수 6
1등-꼴등 설대식 20점 이상 차이 날까요 ? 50명이라 씹대형과긴 한데 통합선발에...
-
감풀이긴한데 순서배열 빼면 나름의 논리로 푸는 중 이번 수능1. 고2모고 한 번...
-
자사고 문과 메가랑 대성 패스 있음 모고 112 // 내신 국어 3 // 2학년...
-
ㅈㄱ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