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탐구 [264660] · MS 2008 · 쪽지

2011-01-08 09:02:17
조회수 1,430

다들 2차에서 수능 반영 방식에 대해서 너무 뭐라들 하시는데

게시글 주소: https://i1000psi.orbi.kr/000551189

안녕하세요

제가 수능 별로 안좋고 내신 봐줄만한 사람입니다만

수능은 신성시하고 내신은 무시하는 태도는 별로 아니라고 봅니다.

아예 외진 곳에 있는 학교가 아니라하더라도(물론 그런 학교를 무시하는것은 아닙니다. 굳이 굳이 굳 이 예를 들자면요)

내신 관리 하는 사람들은 자기 자식 기르는 마음으로 한학기 한학기 정성들여서 쌓는건데 그런 마음으로 내신 쌓아두신 분들이 듣기

에 너무 기분 나쁘게 말씀들 하시네요. 학교마다 차이가 있다고는 하지만 내신 쌓는 사람들은 어느 학교에서 공부하셨건 이런 마음이

셨을 겁니다.

물론 정시는 수능으로 결정되야 하는게 입시를 겪는 학생들 입장에서의 생각이겠지만 저는

내신 또한 몇몇 국립학교에서는 정시에서도 중요한 지표로서 사용되야 한다구 생각해요. 정시에서는 수능이 짱! 이런건 몇몇 사립대

학교에서 만든 분위기이지 대교협에서 결정한 사안이 아니니까요 (그래서 더욱이 우리가 전형제도에 대해서 왈가왈부할게 아니라고

봅니다)

뭐 결론은 너무 내신 괜찮은 분들 까지 맙시다. 분명히 댓글에도 뭐 수능 반영방식을 깐거지 내신 고득점자 분들을 깐게 아니다 이런

글들이 올라올것 같은데 현 게시판 분위기상 내신 고득점자 분들과 점수 좀 낮아도 소신지원한 분들을 까는(?) 분위기로 흘러가네요

(참고로 저는 내신 괜찮은 편이지만 고득점자는 아니에요.)

또 요새 설포 글들 보면서 느끼는건데 제가 3년정도 눈팅을 해왔고 올해는 아주 가아끔 글도 써보는데 (입시를 겪으니까요)

올해는 특히 설대 지원자분들이 설부심 이런게 좀 심하네요. 몇몇분들이요.

그런분들께 서형일 공신님이 하신 말을 해드리고 싶어요.

"서울대 와서 프라이드를 많이 느꼈고 타대학교 학생들보다 우월함을 느꼈는데 학교 지내면 지낼수록 그게 쪽팔린 생각이었음을 느꼈다.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아래 사람 없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꿀빵이 · 361385 · 11/01/08 09:05 · MS 2010

    저도 서울대가 지금의 방식이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내린 2차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 수리탐구 · 264660 · 11/01/08 09:08 · MS 2008

    동감입니다.

  • 내신올킬~~ · 359493 · 11/01/08 16:14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Lim수능->500점 · 334959 · 11/01/08 09:05

    전 수능만으로 뽑는 특차가 부활했으면 좋겠어요

  • 수리탐구 · 264660 · 11/01/08 09:11 · MS 2008

    수능 또한 중요한 지표이니 그런게 필요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단지 저는 현 설포내에서 너무 수능 낮으신 분들이 서울대에 지원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으로 반응하시는 분들이 있어 우려의 글을 올린 것이구요.

  • ㅅㅇㅊㅇ · 361827 · 11/01/08 13:22 · MS 2010

    부활하지 않나요? 20% 우선선발??

  • Oswald · 356352 · 11/01/08 09:21 · MS 2017

    설부심 뭐 나쁘진 않지만 넓은 관점에서 보면... 좀;

    마지막 말 좋네요.



    저도 비평준화 지역이었기에 ( 외고에 비할데는 못되지만 )
    좀 낮은데 갔으면 내신 다 맞고 막 그러지 않았을까? 생각도 해봤지만
    그랬으면 수능을 잘 봤을지도 의문이고

    아무튼 각각 다 열심히 한건데 뭐는 우선적이고 뭐는 후진거고 그렇게 우열 나누는게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학과라는 것도 물론 전과라든가 복수전공같이 유연하게 할 수도 있겠지만
    우선적으로 자신이 원했던 과를 쓰는게 당연한거 아니겠습니까.
    경사자/인농소/사범/ 이런식으로 서울대 내에서도 자꾸 서열화를 조장하는 것도 그리 좋아보이지는 않고.
    본질적으로, 대학에 왜 가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자주 드는 입시철입니다.
    대학이 이렇게 사람을 등급으로 낙인찍고 점수맞춰 오라고 설립된건지 진심 의문입니다.

    아무튼...
    내신은 어느 정도 환경의 영향을 받는것처럼 보여서 사실 뭔가 자신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그런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자신들의 노력이 담겨있고 끝까지 교만함으로 손놓지 않고 열심히 한 결과물이라 생각합니다.
    수능이 참 객관적이긴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내신을 깔 기준까지는 못되는 것처럼 보이네요.

  • 수리탐구 · 264660 · 11/01/08 09:25 · MS 2008

    저희 학교는 일반 지방고이지만.. 이번에 설경 지균 최종합 1명에 정시 1단계 합격 8명이라면 괜찮은 학교라고 볼 수 있겠죠.. 그속에서도 아랑곳하지않고 내신 쌓아온 저에게는 저런 글들이 아프게 느껴집니다. ㅎ 특히 님처럼 비평준이나 외고 분들께서는 더 힘들게 내신 가꿔오셨을텐데 기분이 안좋네요 다른 글들 보면 ㅎ 여튼 합격하신김에 2단계까지 같이 힘내죠!

  • Octavarium · 276365 · 11/01/08 10:34 · MS 2009

    내신이 문제인거는 학교차이 때문이기도하지만
    실력과는 전혀상관없는 암기잉여력테스트 시험이기도 해서...문제죠
    뭐 어쨋든 결론적으로 자기가 열심히 달달외우는가 아니면 저처럼 빡쳐서 때려치우든가에 따라 결정나는 점수이지만
    내신 좀 높다고 그게 정말 실력이 더 있는건지는 전혀 아니라고 보네요.
    반면에 수능이나 논술은 실력에따라 문제를 푸느냐 안푸느냐가 결정되죠.
    학생의 실력을 평가할수있는 정도는 논술>>>>수능>>>>>>>>>>>>>>>>>>>>>>>>>>>>>>>>>>>>>>>>>>>>>>>>>>>>>>>>>>>>>>>>>>>>>내신
    이라고 봅니다.
    솔까말 지균도 없에야됨...

  • 작전이다 · 357360 · 11/01/08 10:51 · MS 2010

    --; 열심히 달달외울수 있는 인내도 실력이고 님처럼 빡친다고 때려치우는 사람은 서울대는 원하지 않을테니 현재 방법이 매우 적절한거같네요.
    님이 내신 포기했다구 지균을 없애니.. 논술이 짱이라니.. 이런생각 은연중엔 가지셔도 직접적으로 내뱉는 분은 첨봄 --;

  • 애써웃음 · 323811 · 11/01/08 11:58 · MS 2009

    옥타님 말이 전적으로 옳은것도 아니고 설대준비생으로서 작전님 말처럼 빡쳐서 내신때려쳤다는 마음가짐은
    결코 바람직하다고 보진 않지만 내신에 변별력이 없는것은 사실입니다.....
    중학교때 공부하던 방식으로 내신말 잘하고 수능 개판인데 붙는사람들 보면 같은해 입시생으로서 억울하죠.
    물론 대체적으로 내신좋은사람은 그만큼 성실하고 자기관리가 잘돼있기때문에 수능성적도 좋은 편이긴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흔하기때문에 이런일이 발생하는듯
    정말 수능은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력을 검증하는 시험이고 내신은 단순암기시험이니....
    오죽하면 작년에 MB가 EBS편들어줄때부터 수능이 내신시험이 돼버렸다고들 했으니...

  • 싸마쿤 · 359539 · 11/01/08 15:46 · MS 2010

    음.. 내신이라는게 결국 학교생활 성실하게 잘 했냐, 수업때 선생님 말씀 잘 듣고 하라는대로 했냐 이런 건데

    대학 입장에서는 이 지표도 무시할 수 없는 듯 합니다. 물론 학교별 격차가 있어 문제가 있지만요.

    학교다니면서 느낀 거지만, 성실함도 능력인듯.. 집중력 생각 안한 성실함이요..

    언제나 효율성을 핑계로 빈둥빈둥 노는 내게 경각심을 주는 녀석들이 있었죠. 중요한건 난 그렇게 안하는게 아니라

    못한다는거ㅠㅠ

  • Octavarium · 276365 · 11/01/08 23:01 · MS 2009

    때려치운 과목은 당연히 국어 사회 일본어 이런 과목이죠.
    수학과학은 그래도 나름 열심히 했네요 ㅎ..
    공대에서 필요한 능력이 이미 다른사람에 의해 정리된 학문을 인내력으로 달달외우는것일까요
    아니면 수능/논술에서 필요한 창의력 사고력 추론력일까요? ㅎㅎ..
    그리고 2주동안 달달외우는 것과 3년동안 준비하는 시험중 어느것이 더 인내력이 필요한 것일까요 ㅋㅋ...

  • 꿀빵이 · 361385 · 11/01/09 21:54 · MS 2010

    내신도 결국 3년 아닌가요?
    님의 의견인 내신보다 수능이 좀 더 학생의 학습능력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자료다라는 생각에는 동의하지만, 학교에 다니다보면 확실히 내신 좋았던 애들이 잘합니다.
    물론 1학년 과정에서는 특목고 출신이나 특기자 출신들이 좀 두드러지는 면이 있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고등학교 때 하기 싫은 공부도 꿋꿋히 해내던 학생들이 학점도 좋습니다.
    서울대가 바보라서 내신을 높게 쳐줍니까? 오히려 수능 한번 뽀록으로 들어오는 학생들이 문제지요..,
    내신이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특목고 학생이나 일부 자사고 학생들이 내신이 나쁜 건 어떻게 보면 그들이 선택한 일이지 결코 학교탓을 할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서울대 진학에 특목고 불리하다는 것 정도는 당연한 거죠. 하지만 특목고간 실력차와 일반고와의 차이를 객관화시킬 지표는 없습니다. 저 역시 내신을 극단적으로 높게보는 전형은 반대합니다만 하기 싫은 공부 포기하는 특목고 및 자사고 학생은 분명 지방일반고 내신1등보다 기본적은 학업에 대한 태도가 떨어진다고 생각되는데요...??

    서울대 역시 같은 생각이라고 봅니다.

  • ㅅㅇㅊㅇ · 361827 · 11/01/08 13:29 · MS 2010

    또 논술이 그렇지도 않아요...
    세가지 중에서 사교육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게 또 논술임
    천재적인 머리+사교육 받았거나 말았거나>>>>>>>>적당한 머리+지속적인 사교육>>>>>좋은 머리+사교육0 논술은 이런 것 같더군요 -_-;
    사교육으로 '훈련된' 실력이 진정한 실력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ㅋ

    개인적으로는 난이도 조절 잘 된 우리나라 수능만큼 객관적이고 좋은 시험이 없다고 보는데 문제는 해마다 난이도 논란있고 올해는 썩을 수능 샤프(ㅁㅅㅁㄷㅈㅁㅇㄶㅁㄴㅇㄹ)
    하여튼 내신이 일회성 시험으로 결정되는게 아니라 그런 일회성 시험이 열번 넘게 축적되서 나온 결과이기 때문에 나름의 의미는 있다고 봐야할겁니다
    대학에서도 내신보는게 뭐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성실성' 반영 측면이 클듯한데요. 뽑아놓고보니 선행 안 돼있고 해도 성실히 시키는대로 잘 따라오는 애들이 더 낫더라 이거죠
    안 그러면 굳이 특기자에서도 내신 비중 높게 볼 이유가 없잖습니까. 연고대처럼 스펙으로 뽑으면 될 것을
    물론 이전 지균처럼 내신만이 절대적으로 작용하는 전형은 부작용이 크다고 생각합니다마는... 내년부터는 바뀌겠더군요(왜 내년이니 ㄱ-)

  • 한이야 · 346799 · 11/01/08 21:52 · MS 2010

    수능샤프제도 없앴으면 좋겠음.... 아니면 하나로 꾸준히 쓰던지

  • 싸마쿤 · 359539 · 11/01/08 15:43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기어코된다 · 352664 · 11/01/08 11:37

    솔직히 자기네 학교내에서 평가하는 내신이 변별력이 없는건 사실이죠~
    외고 다니면서 발내신 받은거 변명하는게 아니라 시험지 한번 비교해 보시죠ㅠㅠ

  • Optical · 259634 · 11/01/08 12:03

    특목고만아니라면 어느정도 극복가능한 내신반영으로 만들어놨다고 봅니다...
    수능의취지도 수학능력을 측정하는것이고, 즉 인내력이라던지 공부할 태도를 측정하겠다는것이므로
    내신도 이부분에대해서는 상당부분 교집합관계를 갖는거는 사실입니다

    물론 아주 극단적인 학교들이있습니다만.. 거기서도 수능2배수뚫을만한 성적이나온다면
    그 내신의 형평성에대해 근거가 될수도있구요

  • 호후호후호후 · 296484 · 11/01/08 12:46 · MS 2009

    인내력이 수학 능력이란 말은 웃기네요. 너무 내신에 대해서 좋게 해석하려고한 것같은 면이 보이는데 그렇다면 수능은 인내력과는 상관없나요? 게다가 수학능력이란 말자체가 수업을 이수할 수 있는 능력아닌가요?

    특목고가 아니여도 올해 자사고로 바뀌는 학교들이나 이전부터 학교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그리고 글쓴이님? 위의 학교출신들과 공부 조금만해도 1등급 나오는 학교 출신과 마음 가짐 자체가 다른것도 사실아닌가요?

    님이 이렇게 쓰고 있다는 것 자체가 내신받기가 더 쉽다는걸 인정하고 들어가는거잖아요?

    그렇지 않다면 이렇게 항변하는 식의 글을 쓸 필요도 없었을테고

    님이 내신 성적에 비해 수능을 못본 이유도 해석 가능하지 않나요?

    결국 내신에 비해 수능을 못본 사람들이 욕먹는 이유는 내신은 변별력이 없고 수능은 그에 비해 높은데 내신으로 못본 수능을 커버한다면 자신 수준에 비해 높은 학교를 썼다고 말할 수있는거죠.

  • 케네라이 · 295447 · 11/01/08 15:32 · MS 2009

    근데 지규너가 특기자보다 후반부의 성적은 더 우수하다는 자료를 본 기억이 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규너가 특기자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는건 절대로 아니지만 왜 그런 결과가 나올까 궁금하기에 오르비분들의 현명한 생각이 듣고싶습니다.

  • Octavarium · 276365 · 11/01/08 22:50 · MS 2009

    그거 그래프를 봤는데요
    초기에는 특기자 >=정시>>>>>지규너
    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지규너가 많이 올라서 특기자>=>>지규너 이정도로 됩니다.
    후반부에서 많이 올라간거지 수능 특기자 보다 우수해지는건 아님

  • ㅅㅇㅊㅇ · 361827 · 11/01/09 00:27 · MS 2010

    정시보다 지균이 낫다는 걸 어디서 본 것 같기도 한데...-_-;;

    뭐 확실한건 이과에서는 특기자>>>>>>>>정시/지균 이라는거...?OTL

    평균 내면 다들 엇비슷 한데 과탑들은 절대다수가 특기자라더군요...


    문과는 입학전형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들었습니다

  • 백성준 · 359493 · 11/01/08 15:56 · MS 2010

    지균합격자의 10퍼센트가 언수외중 두과목만 2등급 받으면 되는 최저학력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현 상황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ㅋ

  • wlfmwk · 322755 · 11/01/08 17:51

    윗분들의견에 덧붙여서 일부 시골학교들은 심지어 내신조작까지도 한답디다 한명에게 전과목1등 몰아주는 형식으로요;;

  • mymy · 312726 · 11/01/08 18:30 · MS 2017

    자립형사립고 내신은 구제해주세요

  • 멋동 · 268141 · 11/01/08 18:31 · MS 2008

    정말이런글마다돌아다니면서 추천하고싶은심정

  • mymy · 312726 · 11/01/08 18:33 · MS 2017

    흑흑흑 내신 우수자 장학금 받고 학교 다녔는데 40.78임ㅜㅜㅜ

  • 내신올킬~~ · 359493 · 11/01/08 19:35 · MS 2010

    ㅋㅋ 저두 39점인데 전교 10위권임ㅋㅋㅋ

  • 설대자전 · 303253 · 11/01/08 22:56 · MS 2009

    저도 한 때 그런생각 해봤는데요. 그래서 한번 맘잡고 공부해보자 했는데도 전교1등 못해봤는데요......
    전교1등 힘듬 솔찍히 실수도 안해야하고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