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르비 [1191240]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4-06-11 18:36:33
조회수 760

@@la Vida 기출문제집 후기@@

게시글 주소: https://i1000psi.orbi.kr/00068382345

안녕하세요! 이번으로 보면 나이로는 4수(?)하게 되었습니다...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었네요! 

반수를 해서 지방 약대에 도착하고 2년째 다니고 있었습니다. 

약대에 온 이후 오르비는 아예 하지 않다가 올해 초 의대 증원 소식에 눈팅도 시작하며 발빠르게 준비하고 있었습니다.ㅎㅎ

생명은 이번에 2년만에 준비하게 되어서 베이스는 있지만 옛날 공부하던 때를 생각하면 항상 불안한 감정이 컸었습니다... 

3등급은 무난하게 떴지만 이후 1등급이 안정적으로 나오지 않아서 다른 과목에 비해서 스트레스가 많았던 것 같네요..

우연히 la Vida 서포터즈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학교를 다니면서 계속 꾸준히 공부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신청을 하며 운이 좋게 당첨되었습니다.!! 덕분에 감사히 잘 공부했습니다 ^^


개념은 현역과 반수때 All about으로 돌렸고 대학교에서 생물강의를 2번이나 들었기 때문에 굳이 개념 강의를 듣지 않아도 되더라고요! ㅎㅎ그래도 까먹은 부분이랑 헷갈리는 부분이 꽤 있었는데 기초강의부터 들으면 시간이 개 손해라서 고민중이었는데

개념을 많이 돌린 n수생이나 반수생들은 이것만 봐도 충분할 것 같더라구요!! ^>^ 너무 좋네요..! 읽기만 해도 머릿속에  남네요!


현역때 생명 유전 강의만 하루에 8시간씩 들으면서 이해도 되지 않는데 풀이과정만 계속 옮겨적던 때가 기억이 나네요...

강의를 듣는 것이 내 실력을 올려주는 것 같았고,, 내가 강의를 조금이라도 안 듣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에서 수능이 나오면 어떡하나 걱정도 하면서 꾸역꾸역 강의만 100%로 듣고 복습은 아예하지 않는 허수 그 자체였던게 기억이 납니다...ㅎㅎ

이후 반수때는 강의를 아예 배제하고 독학 위주로 진행했던 것 같네요..! 그 때 이책을 봤으면 학교가 달라졌을지도ㅋㅋ... 모르겠네요.. 이제 봐서 좀 많이 아쉽습니다. 


개념 부분이 생각보다 상세히 적혀있어서 놀람.. 이것만 봐도 충분히 이해가 될 것 같네요..!


저는 특히 다인자 유전 파트 부분이 조금 감명깊게 본것 같네요. 제가 현역때 다인자 유전에 대한 특별한 문제가 9평에 나오게 되었고 다른 과목을 공부하느라 생명 공부를 소홀히 했습니다. 그래서 이 파트를 열심히 공부하지 않고 수능을 쳐서 이 파트에 대한 공부가 많이 부족했죠.. 이제는 생명 강의를 들을 수 없는 몸이 되어버렸는데,, 충분히 이 책에 있는 개념을 보고 문제가 풀리는 것을 보고 조금 놀랐습니다.! 처음 공부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이 책에 있는 개념을 보고 독학하기에는 조금 힘들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한 번 인강을 들었거나 공부를 한 사람의 입장에서는 개념을 받아들이기 매우 좋았던 것 같네요..! (그래도 다인자는 어려워..ㅎㅎ)

그 다음으로 감명 받은 부분은 손글씨로 표시하여 이해하기 쉽게 도움을 준 부분입니다. 

대부분의 문제집의 해설지는 comment가 있는 경우가 있어도 손으로 써서 이해를 돕는 경우는 보지는 못 봤던것 같습니다. 딱딱한 해설지가 아닌 부드러운 해설지가 된 듯한 느낌이 들었고 계속해서 내풀이와 비교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comment들은 매우 맘에 들었고 해설지보다 comment를 먼저 읽고 싶었습니다..ㅎㅎ


그리고 여기에는 적기에는 분량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못 적었는데.. 여러가지 skill(?) tip이라고 해야하나 그런 것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표현형 표기법, 평가원이 내는 낚시들... 등등 엄청 많았는데 이 부분은 직접 사셔서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ㅎ.ㅎ


좋은 책을 지금이라도 볼 수 있게 되서 정말 영광입니다.

한번 기출문제를 돌린 학생분이나, 반수생, n수생 등등 한번쯤은 개념과 기출을 돌린 학셍분들이 기출문제를 회독하는데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