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생각없는 리어r [1207931] · MS 2023 · 쪽지

2024-06-28 16:21:04
조회수 65

6 말초신경계

게시글 주소: https://i1000psi.orbi.kr/00068561040

중요함. 중추신경계와 같이 사용됨


분류는 어제 강의 들으면서 써섰는데 다시 한번 씀


해부학적 분류는 

뇌신경서 나왔다 뇌신경

척수에서 나왔다 척수신경 


뇌신경은 뇌 연합뉴런이 아니다.

12월 31일


방향에 따라 구심성 원심성 


구심성은 감각신경이며

원심성은 운동뉴런으로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으로 나늰다


체성신경의 경우 골격근에 연결되어 있으면 대뇌나 척수에서 반응한다.

자율신경의경우 뇌줄기 간뇌 척수(배변, 배뇨 반사)에서 반응하며 주로 내장기관의 조절을 담당한다.


 교감 신경 : 흥분 심장박동호흡촉진 동공 확대 방광이완 소화운동 억데 동공 확대다 확대 신경절 이후 뉴런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반출한다.

 부교감신경은 반대로 하며 신경절 이후 뉴런에선 아세틸콜린을 분비한다.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은 같다,



다시 정리 


구 중 원 체선 자율


대뇌에서 체성 (골격군) 뇌줄기 자율신경


척수는 반사할 때 발동한다 공격근 그리고 배변배뇨 척수가 ㅏ조절한다.





연합뉴런으로 구성!! 계속다시 기억해라

연합뉴런은 회색질

축삭돌기의 뭉치는 백색질


대뇌는 의식과 감각의 중추, 수의 운동을 중추

소뇌는 평형감각의 중추 미세수의 운동 조절



반사는 척수반사라도 골격근의 경우 체성 내장근의 경우 자율 신경


자율신경은 뇌줄기 


체성신경은 대뇌


중요한건니까 반드시 기억


중간뇌는 안구운도 ㅇ동공반사 시각에 의한 평형감각


뇌교 대뇌와 소뇌사이의 정보전달 중계

호흡조절관여


연수 호흡운동 심장박동 소화핵분비의 조절 중추 연수반사 기침 재채기 하품 눈물분비


이로서 뇌줄기가 자율신경을 조절하는 이유는 대충할겠지?


간뇌 시장과 시상하부로 구분 


시상 후각을 제외한 감각자극이 모임 불필요한 자극차단 중요정보만 대뇌로 전달


시상하부 : 항상성 유지의 중추 자율쇼ㅣㄴ경계 조절

 내분ㅣ계 조절


결국 간뇌에서 시상에서 상태를 확인 조절하고 뇌줄기 중간뇌 뇌교 연수 등 뇌줄기에선 그 정보를 바탕으로 항상성을 유지한다.



간단하지>?

될 수 있는 한 ㅇ완벽하게 정리하자.



여튼 이렇게 항상성을 유지하는것들이 중요한데 이것들이 아무것도 못하게 됐을때 모든 항상성 유지가 멈추기 때문에 뇌줅시는 필요가 없어진다.


사고를 해야하기 때문에 의식적 작용인 대뇌가 중요하긴하나 자연적으로 돌아 갈 수 있게 관리하는 시설들이 망가지면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뇌줄기가 중요하다.


아세틸콜린 아드레날린 에피네프린 잘 기억하라,


에피네프린 = 흥분


아세틸콜린 =안정



교감은 절전 뉴런이 짧 부교감은 전전 뉴런이 길,.


절전 말이집 절후 민말이집


신경절은 결국시넵스.





자율신경의 구조 


교감신경 신경절 이전 뉴런들의 신경세포체가 모두 척수에 있다.

척수 근처의 신경절에서 흥분 정보가 통합된 후 신경절 이후 뉴런이 각 기관으로 연결..

부교감신경 신경절 이전 뉴런들의 신경세포체가 중간뇌와 연수 척수의 꼬리부분에 있다.


각 기관 근처에 신경절을 이룬 후 신경절 이후 뉴런들이 각 기관으로 연결



교감이 급한데 왜 척수를 거쳐서 가는가 했는데 애초에 절전뉴런이 짧고 뭉텅이로 반응하기 떄문에 그렇게 진화 했을지도 모르겠다.

절전 뉴런이 짧은 만큼 다음 뉴런으로 빠르게 진행 할 수 있을 거고 

사실상 우리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을 같이 배우지만 그 길이가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없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절후 뉴런의 길이가 같다고 가정하면 교감신경 자체의 길이가 매우 짧아 질 수 있고

그럴경우 교감신경이 더 급격하게 진행 될 수 있다.


부교감 시작부위는 - 조절중추랑 비슷하다.   예외는 간뇌 (항상성 -혈당) ->연수(이자)

교감신경은 시작부위와 조절 중추랑 다르나 예외 배뇨반사.


부교감중 배뇨반사 빼곤 다 뇌신경

교감신경중 동공반사 빼곤 다 척수신경.



신경계 질환


뇌절증 :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서 뇌의 측성 부위 손상됨,

알츠하미어 : ㅓ대뇌의 신경세포 퇴화 , 뇌가 수측 ->기억, 언어 자어애


파킨슨병 : 중간뇌의 도파민 세포 소실 -> 손발 떨림, 불안정한 자세

루게릭병 :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 파괴 : 근육 위측, 호흡마비

 약물ㅜㅇ독 : 특정 약물을 충동적으로 섭취 및 과다 복용


각성제 : 신경 흥분을 촉진하여 각성을 일으킴 카페인 니코틴 암페다민 코카인 ( 마약

환각제 :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환각을 유발 대마초 뷰테인가스 lsd

진정제 : 신경흥분을 억제 긴장과 통증을 완화. 아편, 수면제, 알코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