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론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사회가 유기체처럼 잘 돌아간다고 봅니다. 기능론에서는 가족을 볼때 아빠는 일을 해서 돈벌고 엄마는 집안일을 하는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데 가족끼리 유대가 약화되면 서로의 역할을 믿지 못하게 되어 ‘일시작 병리 현상’ 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상상론은 ‘개인의 상황적 정의’ 를 중시합니다. 아무리 가족끼리 연대가 약화되더라도 개인이 ‘우리 가족은 문제없어’ 라고 상황을 정의하면 문제가 안될수도 있습니다. 저 선지가 만약 “문제라고 볼수 있는가?”면 상상론도 가능하지만 “문제라고 보는가?”이기 때문에 항상 그런것은 아닙니다
기능론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사회가 유기체처럼 잘 돌아간다고 봅니다. 기능론에서는 가족을 볼때 아빠는 일을 해서 돈벌고 엄마는 집안일을 하는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데 가족끼리 유대가 약화되면 서로의 역할을 믿지 못하게 되어 ‘일시작 병리 현상’ 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애매함 평가원은 그렇게 안냄)
이거 수능 문제에요ㅠㅠㅠ 그래서 더 멘붕..
답변 부탁드려요...... 이거 20수능 기출이에요ㅠ 근데
해설지를 봐도 이해가 안되네요.. 답변주신 내용은 이해가 가는데 저게 평가원이 낸거라 멘붕이에요.. 상상론이라고 봐도 딱히 틀리지않은것 같아서요 기능론인건 이해했지만요
아시다시피 상상론은 ‘개인의 상황적 정의’ 를 중시합니다. 아무리 가족끼리 연대가 약화되더라도 개인이 ‘우리 가족은 문제없어’ 라고 상황을 정의하면 문제가 안될수도 있습니다. 저 선지가 만약 “문제라고 볼수 있는가?”면 상상론도 가능하지만 “문제라고 보는가?”이기 때문에 항상 그런것은 아닙니다
아!! 상상론이 맞으려면 상황적인 정의가 들어가야겠군요 어느정도 이해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