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첫 수능에서 실패한 후 깨달은 사실
더 늦기 전에 깨닫길 바라며
1. 도약
우리는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을 위선적인 사람이라 합니다.
가식적인 사람이라고도 하죠. 여러분들 중에는 그런 친구를 곁에 두고 싶어 하는 학생들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현재 자신의 생각만큼 또는 노력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면, 중위권에서 상위권으로 도약하지 못하고 있다면, 여러분 스스로가 가식적 학습을 하고 있진 않은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가식적으로 학습한다는 건 공부를 하는 척만 하고 실제로는 열심히 하지 않는다 이런 의미가 아닙니다. 오히려 열심히 하는 학생일수록 가식적 학습, 겉과 속이 다른 학습에 빠지기 쉽거든요. 그래서 오늘 제가 여러분이 어떤 식으로 가식적 학습을 하고 있는지와 왜 그런 학습을 하면 안 되는지, 수능까지의 남은 날들을 어떤 식으로 보내야 지금의 정체된 상황에서 한 단계, 두 단계 도약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2. 의심
여러분이 처음 공부를 시작했을 때를 생각해 봅시다.
이때는 공부를 하면 공부하는 만큼 오릅니다. 안 오른다?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겁니다. 첫 단추를 잘못 끼워서 방향이 아예 잘못됐거나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았거나 이 둘 중 하나입니다.
5등급에서 4등급, 3등급으로 올라올 때는 여러분이 공부를 하면 공부한 만큼 성적이 오릅니다. 그런데 3등급에서 2등급,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올라갈 때는 이전처럼 여러분이 앉아서 공부를 열심히만 한다고 해서 성적이 오르지 않습니다.
이때 많은 학생들이 힘들어하고 슬럼프에 빠지죠. 자책합니다. 이전만큼 성장하지 못하는 자신을 보며 괴로워합니다.
이 정도 했으면 2등급 나올 것도 같은데,
1등급 나올 것도 같은데 왜 안 나오지?
왜 나는 맨날 3등급이지?
왜 맨날 나는 2등급이지?
분명 실력이 올랐다는 게 스스로도 느껴지는데 모의고사 성적은 변화가 없으니 (때로는 더 떨어지니) 점점 불안해지고 조급해집니다. 특히 지금 같은 시기에는 더더욱 그렇죠.
내 공부의 방향성이 잘못된 게 아닐까?
지금 와서 또 어떻게 고쳐나가지?
이러다가 망하는 거 아니야?
이런 생각에 사로잡힙니다. 그리고는 한때는 늘었다고 생각했던 자신의 실력마저 의심하기 시작하죠. 어떻게 해야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서 도약할 수 있을까요?
3. 착각
많은 학생들이 내공과 실력을 구분하지 못해서 이런 문제 상황을 겪습니다.
용어에 대한 정의부터 정확하게 내려드릴게요. 여러분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실력이라는 단어 앞으로 함부로 사용하지 마세요.
실력은 오른 것 같은데 성적이 안 올라요.
이런 말을 하지 말라는 겁니다. 내가 느끼는 나의 수준은 실력이 아니라 내공입니다. 내가 열심히 공부해서 내 머릿속에 쌓은 지식들을 말하죠. 그렇다면 실력은 무엇일까요? 말 그대로 실제 시험장에서 발휘되는 능력. 이걸 줄이면 실력이 되는 거죠.
많은 학생들이 이 둘을 혼동하거나 아니면 애초에 이 둘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실전이 아닌 상황에서 쌓은 내공과 실전에서 발휘되는 실력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괴리가 존재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고려하지 않는 거죠.
이런 상태로 하는 공부를 저는 가식적 학습이라고 말합니다.
가식적인 공부를 하는 학생들은 열심히 학습했으니까 당연히 시험장에서 이전보다 많은 문제를 풀어낼 수 있고 당연히 더 높은 점수를 받을 거라는 착각을 합니다. 공부를 했는데 성적이 떨어지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생각을 하죠. 이거 좀 나쁘게 말하면 망상하는 거예요. 망상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정의가 근거가 없는 주관적인 신념을 말하거든요. 여러분이 뭔가를 배웠다고 해서 그걸 모두 시험장에서 실전에서 발휘할 수 있으리라는 근거는 전혀 없습니다. 저도 고3 때 이러한 망상으로 인해 실패한 경험을 가진 사람 중 한 명입니다.
제발, 제발 모의고사 칠 때 자신의 실력을 확인받는 것만을 목표로 삼지 마세요. 매번 모의고사에서 실력만을 확인받으려고 하는 학생들은 매번 자책할 수밖에 없어요.
4. 악순환
‘이번에는 잘 치겠지’라는 기대감과 ‘이번에는 잘 쳐야 하는데’라는 조급함을 가지고 덤비면, 잘해봤자 잠시의 위안을 얻고, 까딱하면 멘탈이 깨집니다. 이번에 한 번 잘 쳐도 ‘다음에 못 치지 않을까? 이게 진짜 내 실력이 맞을까?’라는 불안감을 갖게 됩니다.
실전 모의고사를 통해 객관적인 실력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여러분의 최종 목표가 되면 안 됩니다. 앞으로 실모를 칠 때는 나의 내공과 실력 사이의 괴리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삼으세요. 그 괴리를 찾아서 메꾸겠다는 마음가짐으로 모의고사를 쳐야 합니다. 그렇게 확신을 쌓아나가야 합니다. 내공과 실력 사이의 괴리를 만들어내는 요소를 찾아서 제거한다면, 지금보다 실력(성적)이 높아지겠다는 확신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모의고사 치고 그냥 버리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잘 치면 잘 쳤다고 버리고, 못 치면 문제의 퀄리티가 어떻다 평가원스럽지 않다 하면서 내팽겨 쳐요. 이러한 행위는 돈도 돈이지만 시간을 아주아주 낭비하는 거예요.
왜 이렇게 행동할까요?
자신의 현재 실력(결과)을 확인받고 싶으니까. 그리고 그 결과는 좋아야 하니까. 안 그러면 괴로우니까. 결과가 마음에 들면 오케이! 하고 넘기고, 결과가 마음에 안 들면 현실을 부정해야 하는 거죠. 그러니 실모를 쳐도 얻는 게 거의 없습니다. 수능이라는 레이스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수능 직전 한두 달의 시간을 이렇게 낭비하는 학생들이 정말 많습니다.
이런 가식적인 학습을 하다가는 수능이 다가오면 다가올수록 멘탈이 나갈 수밖에 없어요. 당장 내 눈앞에 결과가 주어지지 않으니까 더 조급해지고, 더 괴롭고, 그러면 더 성적이 안 나오고. 그러면 더 괴롭고.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며 점차 구렁텅이로 빠지게 됩니다. 지금 이 글을 여기까지 읽은 여러분들만큼은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주말도 수고 많으셨어요.
다음 주도 응원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선착순 5명 13
만덕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두분다 안주무심 지금으로써는 들키고 비는거밖에안떠올름
-
ㅇ
-
난 너를 사랑해 3
뻥임뇨
-
오늘은 조용하네
-
이모드깔고 바닐라로 새 인생 살고싶어졋는데 얻덕하냐 또 엔딩에서 한발짝멀어짐
-
오늘뭔날인가 진짜 비냉먹고싶어서 눈물나어는데 왜이러는거냐
-
6일 정도 나오려나. 별루 없네
-
뭐 140살까지 살고 그런다는데 진짜 140년동안 뭐해야함?.?... 140살까지...
-
아깐 우울했는데 지금은 거의 조증 수준으로 고양()되어있음
-
오늘 밤 다시뵈요
-
오래걸릴려나?
-
롤체가 재밌는듯 내가 원챔유저라그런가..
-
새르비 장점 1
특정 당할 확률 적어서 좀 더 솔직해져도 됨
-
10년안에 인공지능 발전해서 특이점오는데 그냥 놀아도됨 당장 학원다 그만두세요
-
너무 어렵고 가르쳐줄 친구도없어...
-
새벽 헬스완 4
아 유산소 개힘드네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1
https://sbz.kr/zdk1D
-
배고파 0
비냉먹고싶어..
-
썬크림 바르고 잘뻔햇네 휴
-
댓글은 하나도 없는데
-
맞팔구 12
은발테닝테두리를 받고 싶도다.. ?
-
만약 3월 중순에 들어간다하면 첫 달 금액을 어떻게 계산함..? 똑같이 한 달로...
-
72점 뭐지 필기 이리 쉬운거였음?
-
비냉먹고싶어 5
이시간에 배고파지면 개노답인데
-
마음이편안해진다
-
이모 잘게 5
진짜로
-
레어 좀 사줘 5
부탁좀할게너무거슬려자꾸나따라다니는찐따친구같아
-
늦잠 잣다 4
근데 늦게 잠든거라 상관없다
-
아 여친생겼어요 4
뻥임뇨한
-
학식에 냉면나옴 2500원임 곱빼기가 +500원인가 그러는데 이건 대야에 나옴
-
미적은 신이구나 2
어제배운 미분법으로 이게 증명가능하네 캬
-
어쩌다 도입됐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한국은 나이로 줄세우는거 꼭 해야하는데...
-
뭐지 4
뭐엿을까
-
있음?
-
진짜 잠 4
쿨
-
각ㄱ각 12월말 1월초에 태어나면 1~2주차인데 그 차이때매 언니오빠형누나되눈게신기하지않냐
-
고소감이네
-
곧생일인데 4
ㅈㄴ 기대 하나도 안된다
-
이별하지않기 9
잘자라
-
너무 젊음만 멋지고 찬란하게 묘사되고 어렸을 때 처리하거나 결정되는 일이 너무...
-
을의 연애를 한다. 근데 이거 ㄹㅇ임. 갑의 연애를 하고싶은사람들은 갑질의 대상을...
-
1일 1스벅 사줄 수 있음
-
고딩때가 좋앗던거같다 11
그땐 걱정이라곤 대입밖에 없었는데
-
내 얼굴 아는 사람 많아서 못하겠다 지금 만두로 사는 게 책임 없는 쾌락 같아서 재밌음
-
왜 없지..? SRT 원래 세시에 취소표 푸는거 아니었나
-
기능 3수 도로 3수
오늘도 떴다
쌤님 안녕하세요!! 마지막 시기라 더 바쁘시죠?
맞아요ㅠㅠㅠㅠㅠㅠㅠ 애들도 점점 똑똑해져서 뭘 가르쳐야 할까 고민 중인 시기예요..
제가 수학 풀 때 제가 생각하기에 내공은 시간이 충분하면 한두문제빼고는 다 풀수 있는 내공이라 생각합니다. 근데 딱 100분을 재고 풀었을 때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가끔은 아예 손도 못대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런 경우의 괴리는 어떻게 해결하는게 좋을까요?
시간 부족에는 너무나 많은 원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가 딱 말씀드리지는 못하겠지만, 결국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됩니다.
1. 풀이 속도 (각 문제)
사실 질문에 답이 적혀 있습니다. '시간이 충분하면 다 풀 수 있다'는 말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라는 말이거든요. 그렇다면 왜 시간이 오래 걸리는지를 아는 게 필요합니다. 그 이유에는 계산 속도가 느리거나, 실수를 자주해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거나 문제를 이해하고 풀이를 구상하는데 오래 걸리거나 등등이 있을 텐데 각 경우에 맞춰 보완을 해주시면 됩니다.
2. 운영 전략 (시험 전체)
똑같은 문제들을 똑같은 시간을 주고 풀어도 그 순서(운영 전략)에 따라 결과는 달라집니다.
풀 수 있을 것 같은데..라는 생각으로 계속 시간을 낭비하다가 풀 수 있는 문제를 건드리지 못한다면 그건 올바른 판단(전략)이 아닐 수 있겠죠? 그렇기에 실전에서 마주하는 여러 문제 상황에서 '내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원칙을 세워나가는 게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글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좋은 칼럼써주시는덕에 항상 도움 많이 받습니다
착각이란 말이 정말 와닿네요..
남은 기간에도 와닿는 칼럼으로 찾아뵈겠습니다!
마음에 와닿네요... 감사합니다 정말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내공도, 실력도 모두 기르는 게 맞겠네요…
그렇죠!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잡는 게 필요합니다
좋은칼럼 감사합니다! 열심히 해볼게요
멘탈케어 Goat
감사합니다. 이번 주도 두 편의 칼럼으로 찾아뵐게요 :)
혹시 쪽지 한번만 봐 주실수 있을까요?
기출문제집을 풀때는 1등급 문제도 잘 풀리는데 시험만 보면 준킬러조차 건들기가 힘듭니다
2등급이 목표인 만년 3등급인데 뭐가 문제일까요 ㅜ 시간이 그렇게 부족한 것도 아닌데 그냥 사고가안돼요
제가 고3 때 그랬습니다. 기출 문제를 과도하게 중시하는 바람에 새로운 문제를 다루는 법을 몰랐어요. 기출을 놓지는 말되, N제와 실모를 풀면서 새로운 문제를 푸는 경험을 많이 쌓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와 너무 저라서 소름돋앗어요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그러면 수학을 예로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피드백하는게 좋을까요? 괴리를 없앤다는게 잘 와닿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A발상 하나가 생각 안 나서 못푼거라면 어떻게하나요..? 비슷한 발상 문제를 찾아서 풀 수도 없고요..
안녕하세요 :) 답변 드립니다.
아주 간단히 말하자면 발상이 '생각나지 않은 이유'를 파악하는 게 필요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은 그 발상 자체에 문제가 있기 보다는 그 발상을 해야 하는 '전제 조건'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문제를 풀기 위해 C라는 발상을 했어야 한다면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겠죠.
1.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 A + B를 통해 C라는 발상의 필연성을 왜 느끼지 못했는가?
2. 문제 풀이 과정에서 A → B의 흐름일때 그 다음에 와야 하는 C라는 발상의 필연성을 왜 느끼지 못했는가?
(내공) 발상 자체에 대한 학습이 제대로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실력) 그 발상이 언제 필요한지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면
(내공) 그 발상은 내 머릿속에 데이터 공간을 차지는 하고 있지만
(실력) 실전에서 활성화시키기는 어려운 지식이다.
이것이 칼럼 내용에 나오는 내공과 실력 사이의 괴리입니다.
내공은 많은데 실력이 내공에 비해 꽤 떨어지는 상태라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요
내공이 실력으로 발휘되지 않는 데에는 여러 원인이 존재하고, 실전 경험을 하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학습을 남은 기간 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
진짜 내공과 실력이 다른게 제 상태인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