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 일기264
10진수(decimal)를 2진수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주로, stack을 이용해서 구현하지요.
20을 2진수로 구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0 / 2 = 10 …0
10 / 2 = 5 … 0
5 / 2 = 2 … 1
2 / 2 = 1 … 0
1 / 2 = 0 … 1
몫이 0이 될 때 까지 나누고, 나머지를 밑에서부터 출력하면
10100이 되지요.
이 과정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자료구조가 stack입니다.
제일 먼저 2로 나눈 수는 20이지만, 20을 2로 나눈 나머지가 제일 마지막에 출력 되어야 하죠.
말하자면, 나눈 순서와 나머지를 출력하는 순서가 거꾸로 뒤집힌 상황입니다.
그러니까, 1이 제일 마지막으로 2로 나누어졌지만, 이 결과로 얻어진 나머지가 우선적으로 출력이 되죠.
다시 말해, First in - Last out을 만족하는 stack구조가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죠.
제일 첫번째로 입력된 데이터가 마지막에 출력된다.
도출 과정을 글로 요약해보면 이렇습니다.
1. “해당 수를 나눈 몫이 0이 될 때까지 2로 나눈다”
2. “나눌 때 마다 얻게 된 나머지를 스택에 집어 넣는다”
3. “스택의 데이터가 모두 없어질 때까지 출력한다”
조금 다른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만, 실제 알고리즘을 구현할 때
이런 식으로 간단히 의사를 정리해두는 코드를 Pseudo code(의사 코드)라고도 합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이런 예시로 보면 알 수 있듯이 코딩은 절차적인 글쓰기입니다.
시제를 넘나드는 OOP로 넘어가면 얘기가 조금 달라지지만, 근본이 이렇죠.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stack<char> st;
int main()
{
int num;
cin >> num;
//해당 수를 나눈 몫이 0이 될 때까지 2로 나눈다
while(num > 0)
{
int ret = num % 2;
char res = '0' + ret;
//나눌 때마다 얻게 된 나머지를 스택에 집어 넣는다
st.push(res);
num /= 2;
}
//스택의 데이터가 모두 없어질 때까지 출력한다
string result = "";
while(!st.empty())
{
result += st.top();
st.pop();
}
cout << result << endl;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일은 하겠지
-
ㅠㅠ
-
어제 술 처먹고취해서 술먹고양치안하면 죽는다고 하고다녀서 3
엄빠지금 그걸로하루종일놀림
-
그 학교 제일 끝자락인데 붙이려고 쓰는거 아녜요? 안정으로 박는건가 아님 합격증만...
-
갑자기 궁금해짐
-
서울댄가
-
확실히 오른쪽이 낫긴 하네
-
예비고3인데 개념 쭉돌릴라고 시발점 풀거든여 근데 강의가 존나 길기도 하고 교재만...
-
친구가 수능 공부에 앞서 독서 지문 풀어보라고 해서 한비자 지문 도전해봤는데,...
-
17명 뽑는과인데 점공 2명안들어왔고 지금 16등에 동점자하나있는데 제가 순위...
-
보니까 강기원이 투표수 압도적이던데 수업이 그렇게 ㅅㅌㅊ임?
-
ㅠㅠㅠㅠㅠ 억까하지마 오늘 충분히 당했다고
-
안하는게 낫겠죠...? 이대로 동국대 복학하기에는 미련이 남을 것 같고......
-
호에엥 3
벌써 갈 시간이구나
-
신생아같다
-
우리 학교 1등이래 ㅈㄴ게 부럽네 ㅠㅠㅠㅠㅠ
-
ㄲㅂ
-
메가는 강의 오프라인 다운하면 수강한걸로 뜨는데 대성도 강의 다운하면 들은걸로...
-
일단 잘생기고 이쁘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따르고 열심히 공부하게 됨 선생이...
-
제목 그대로 입니다. 농어촌 정시는 졸업하고나서 농어촌 정시 혜택을 몇년동안 받을수...
와 이런 거 너무 좋은 거 같아요
:)
아 저도 코딩 공부하고 싶네요..나중에 원하는 학과 입학하면 이런 거 연재해보겠습니다
화이팅이에용!
님 코딩 문제 풀때 보면 바로 알고리즘짤때 뭐써야하는지 떠오르나요?
사실 난이도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시간이 걸리긴 합니다.
코딩테스트 한정해서 말씀드리면, 빈출 알고리즘(dp, greedy, knapsack, graph …)이라는 게 존재해서
유형을 반복적으로 접하다 보면 알 수 있죠.
생전 처음 보는 문제는 저도 버겁습니다.
답보면 맥락은 이해가 가는데 문제만 보고 이걸 떠올리는게 많이 빡세더라고요
경험 부족인 거죠. 그래서 가급적이면 유형 별 문제풀이가 도움이 될 때가 많아요.
오늘은 배낭문제, 내일은 dp, 모레는 greedy… 이런 식으로 유형 별로 반복을 하면서 연차가 쌓이면
“자기 주관”이 생기게 마련일 거예요.
자고로, 저도 그런 경험을 지금까지도 너무 많이 겪고 있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