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논(정도환) [376046] · MS 2011 · 쪽지

2015-07-01 20:53:51
조회수 4,053

고려대 논술의 변형을 지켜보면

게시글 주소: https://i1000psi.orbi.kr/0006196548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논술에는 특징이 있습니다.


연대는 인문논술을 위주로 학생들을 선발하고자 하였고, 
고려대는 몇년간 인문논술보다는 수리적 사고가 되는 학생들을 뽑으려 하였거든요.

연세대는 표문제와 3자비교라는 형식을 통해 제시문 독해능력과 동시에 
그 제시문들을 어떻게 조합하고 분석하는지에 대한 이른바 분석적 사고를 강조했고(현재진행형)

고려대는 인문논술도 물론 중시했지만, 수리적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우선 선발한 뒤
그들 중 분석적 사고가 기본이 되는 학생들이라면 대부분 합격을 시켜줬다고 봐줘야 합니다.
고려대 인문논술은 연대 인문논술에 비하면 난이도가 굉장히 낮거든요, 또 수리논제를 틀리는 학생들 경우에는 합격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고 하지만 이들은 수리 연산 과정 혹은 사소한 실수로 탑이 들리는 경우이지 전체적인 방향성 설정 자체가 잘못된 학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15년도 부터 고려대학교가 변화를 취하고 있습니다.
서강대학교 기출문제와 오히려 비슷해진다고 하면 이해가 되는데요. 물론 그정도는 아니지만..
고려대학교 입학처에서 발표한대로 '재료를 제공하고 그 재료들로 완성된 요리를 만들수 있는' 학생들을 뽑겠다는 겁니다. 이게 무슨 뜻인가 하면 그동안 있어왔던 꽉 짜여친 체계, 엄밀성을 물론 전부는 아니지만 조금은 느슨하게 만드는 거죠.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은 주어진 제시문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에 하지 않아도 됬던 제시문들 간의 연결 관계와 논리적 체계를 스스로 짜 맞춰야합니다. (이게 굉장히 어려운 부분이구요.)

따라서 고려대학교는 기출문제의 형식의 변화를 통해 앞으로는 인문적, 분석적 사고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뽑고싶다라고 표현한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제 예상으로는 수리 논제의 난이도는 이제 앞으로 조금씩 낮아지지 않을까를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수리도 잘하고 분석적 사고력도 좋은 애들만 뽑겠다. 뭐 이럴수도 있지만 이럴 가능성은 크지 않거든요.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기출문제들이 그럼 무의미해지는 것이냐?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기존의 기출문제들을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배울수 있는 기본 능력이 있고 이 기본 능력들을 지금까지 기출문제에선 묻기만 했다면, 앞으로는 너가 아니?를 물어보는걸 넘어서 알고 있으면 직접 사용해봐라고 요구하는 꼴이니까요. 

두서없지만 제가 고려대 논술 기출문제를 분석하면서 생각한 내용을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레밸ㅇㅅㅇ · 526597 · 15/07/01 20:56 · MS 2014

    좋아요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1 20:58 · MS 2011

    으흐 감사합니다

  • 레밸ㅇㅅㅇ · 526597 · 15/07/01 21:00 · MS 2014

    그런데 서강대 논술도 '재료를 제공하고 그 재료들로 완성된 요리를 만드는' 유형인가요?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1 21:02 · MS 2011

    아뇨 서강대 논술과 닮아진다고 했으나 꼭 그렇게 표현할순 없는게...
    저 표현은 고려대 입학처에서 직접 해설에 쓴 표현이라 제가 인용한거구요.

    서강대는 정말 학생들에 제시문에 기반하여 스스로 사고할수 있는 능력을 묻고자 한다면 그나마 표현이 되는듯 해요

  • 레밸ㅇㅅㅇ · 526597 · 15/07/01 21:05 · MS 2014

    고대도 엄청 어려워지겠네요 ㅜㅜ 안그래도 수리논술 잘 못하는데
    좋은 글 감사합니다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1 23:21 · MS 2011

    힘내용

  • St4y · 461234 · 15/07/01 21:26 · MS 2013

    좋은글 감사드려요 근데 예전부터 궁금했는데 수리논술 답안 작성시에도 정해진 양식을 지키지 않으면 감점요인이 되나요? 제가 답은 다 맞췄는데 혹시 태클 걸까봐 그래프나 표 위에 보충설명을 메모하듯이 써서 예비를 받고 아깝게 떨어졌는데 혹시 형식대로 썼으면 붙었을까해서..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1 22:57 · MS 2011

    형식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수능 수학은 객관식이지만 수리논술은 수학이더라도 논술이거든요

  • 네V의비밀 · 530041 · 15/07/01 23:35 · MS 2014

    문과 수학2등급컷학생이 서강대나 고려대논술 쓸수있나요? 따로주말에풀어보면도움이될까요 지금이라도??1주에 수리논술이 한시간뿐이라서요.. 지금해서안되면 그냥포기하구요 ㅠㅠ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1 23:35 · MS 2011

    그건 말하기 참 애매합니다 수학처럼 전범위의 문제가 나오는게 아니니까요. 만약 전반적 수리적 사고능력이 부족하다 생각하시면 아무래도 남들보단 불리한게 사실이겠죠?

  • bomul11 · 485732 · 15/07/02 07:00 · MS 2013

    수리능력이 아주 좋다고는 할 수 없는 고2 인데요 이번 여름방학부터 수리논술 시작해 볼까합니다. 수리논술만 준비하고 과학은 준비 안 해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수학내신ᆞ모의고사는 1ᆞ2등급 널을 뜁니다ㅠㅠ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2 12:31 · MS 2011

    저는 이과논술은 전문성이 없어 말은 못드리지만 수학성적이 널뛰는 상태면 우선 그것부터 잡으시는게 우선일듯해여

  • bomul11 · 485732 · 15/07/02 12:52 · MS 2013

    아직 때가 아니라는 말씀이시군요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2 13:41 · MS 2011

    때가 아니라기보다 수학이 부족하니 수학에 집중하는게 좋을듯해요

  • bomul11 · 485732 · 15/07/02 15:32 · MS 2013

    으앙ㅠㅠ!! 수학ᆞ과학 내신ᆞ모의고사 모두 1등급은 해야겠죠~! 여름방학 때 열공해야 겠어요. 일단 수리논술 시작은 겨울방학으로 미룰까 해요.

  • 환논(정도환) · 376046 · 15/07/02 15:41 · MS 2011

    내년 봄학기에 시작해도 늦지는 않을듯 해요

  • bomul11 · 485732 · 15/07/02 17:17 · MS 2013

    조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