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피니티 [1339220] · MS 2024 · 쪽지

2025-02-06 01:17:48
조회수 402

수학공부 vs RPG게임 (잠재력)

게시글 주소: https://i1000psi.orbi.kr/00071811520

수학공부와 RPG는 꽤나 닮아잇다. 그러나 확실한 차이가 잇다.

1. 비슷한 점


혹자는 억지스럽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겟다만,나는 수학공부와 RPG게임이 굉장히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생각하면 좀 더 재밋는 공부를 할 수 잇지 않을까 싶다.

1-1) 재능 vs 역할 (직업군)

수학공부에 잇어서 사람마다 다양한 재능을 가진다. 


이는 RPG게임에서 직업군 (전사, 암살자, 등등..)과 비슷하게 볼 수 잇겟다.

1-2) 문제 vs 몹

문제들을 RPG에서 몹과 같이 생각할 수 잇다.

문제를 풀면서 경험치를 얻는 것이다.

1-3) 경험치.

어떤 게임은 몹을 잡는 것만으로 경험치를 얻는게 아닌 그 이후의 과정을 거쳐야 경험치를 획득한다. (떨어져잇는 경험치를 줍는다거나)

문제도 마찬가지 문제를 풀엇다면 그를 통해 경험치를 얻자.

1-4) 실력 vs 레벨.

경험치를 얻어 레벨(실력)을 올린다.


이런 식으로 보면, 정말 비슷하다고 느낄 수 잇겟다.

하지만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건 차이점이다.

2. 차이점


차이점은 바로 공부를 할 때 인간의 뇌의 잠재력에 대한 이야기다.

자신의 뇌의 잠재력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사람이 너무나 많은 것 같다.


인간의 뇌의 잠재력은 엄청나게 큰 능력이 잇을 뿐 아니라, 도저히 예측할 수 잇는 것이다. 어떻게, 얼마나 발현될지 도저히 알 방법이 없다.

RPG게임에서는 어떤 몹을 잡으면 어느정도의 경험치를 얻는지 정확히, 또는 대략적으로나마 알 수가 잇지만, 나의 공부 실력은 그럴 수 없다는 거다.


그렇기에 먼 계획을 미리 짜는 것은 심한 비효율을 추구할 수 잇다.

예를 들어 RPG게임에서는, p몹을 잡아 A레벨 -> q몹을 잡아 B레벨 -> r몹을 잡아 C레벨을 달성. 같은 계획을 세워둿을 때 계산만 어느정도 정밀하게 햇다면 이를 따라가면 된다.

그러나, 공부를 생각해보자.

p문제들을 풀고 A레벨 -> q문제들을 풀고 B레벨 -> r문제들을 풀고 C레벨 같은 계획을 세웟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나 전에 말햇듯이 인간의 뇌는 예측할 수 잇는 것이 아니다.

p문제들을 풀엇을 때 A레벨에 도달하는게 목적이엿겟지만, B레벨 혹은 C 그 이상까지의 레벨까지도 도달할 수도 잇는 것이다.

이 때 세워놓은 계획을 따라가려고 q문제들을 풀면, 굉장한 비효율을 가짐은 당연하다.

이는 게임에서 이미 높은 레벨에 도달한 상태로 매우 레벨이 낮은 몹을 잡고 잇는 것과 같다.

3. 결론


먼 계획을 미리 짜는건 오히려 비효율이 심해질 수 잇다.

자신이 하고 잇는 공부 (또는 문제세트)에 일단 집중하여 그 문제들을 어떻게 끝낼지에 대한 고민을 먼저 하자.

rare-속초 바다 rare-FC 서울 rare-CRUX rare-탈출 rare-팔라우 바다 rare-최애의아이 아카네짱 rare-맛있는 청포도 rare-주다사 rare-제리인사짤 rare-핵물리학자 rare-파마늘 rare-데스노트 rare-진격의 거인 리바이 rare-월레스와 그로밋 rare-명일방주 스나이퍼 rare-명일방주 뱅가드 rare-명일방주 디펜더 rare-명일방주스페셜리스트 rare-명일방주 메딕 rare-エメ의 싱글앨범 rare-하찮은 뚱이의 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